-
펀드와 주식의 차이점! 펀드의 개념Economy 2023. 3. 5. 22:09반응형
안녕하세요. 레이지옐로입니다. 지난번에 주식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배워보았는데요!
이번에는 주식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것 같은 펀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저도 주식은 무서워서 20대 때부터 펀드만 조금씩 했던 것 같아요.
그런데, 하면서도 펀드 자체에 대한 개념도 굉장히 모호하게 알고 있었어요^^;;
이 기회에 펀드에 대한 개념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Image by jcomp on Freepik 펀드는 무엇일까요?
펀드란 투자를 하기 위해 여러 사람으로부터 모은 돈을 말해요.
주식이나 채권, 파생상품(이건 나중에 한 번 정리하는 시간을 갖도록 할게요!)에 투자하기 위해 사람들로부터 모은 돈의 자금 운용 단위를 말한다고 합니다. 투자상품이므로, 투자하는 사람에게 일정액의 수수료를 떼어주게 돼요. 매입 시에 수수료를 떼게 되면 수수료 선취(A형) 떼지 않는 것은 수수료미징구(C형)라고 합니다. 펀드는 투자 방식에 따라 거치식(한꺼번에 투자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투자금과 이익금을 돌려받는 방식)과 적립식(매월 일정액을 적립하여, 투자금에 대한 이익을 매월 받는 방식)으로 나눠지기도 합니다.펀드는 누가 만들까요?
펀드는 자산운용사에서 만들게 돼요. 그리고 이 펀드를 판매해주는 대신 수수료를 받는 곳이 증권사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투자한 돈을 직접 굴리는 운용사가 판매사(증권사) 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볼 수 있지요!
이런 펀드를 어디에 투자하느냐에 따라 또 종류를 나눠 볼 수 있다고 해요.
- 주식형 : 주식 또는 주식 관련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펀드 (60% 이상)
- 채권형 : 채권 또는 채권 관련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펀드 (60% 이상)
- 혼합형 : 주식형과 채권형이 섞인 펀드, 주식과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
- 부동산: 부동산에 투자하는 펀드. 리츠라고도 알려져 있다고 하네요.
- 실물 : 금, 석유, 은 등에 투자하는 펀드
- 재간접: 다른 펀드에 투자하는 펀드
- MMF :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해서 이익을 얻는 펀드
그리고 펀드를 어떻게 모으냐에 따라서도 다양하게 종류를 나눠 볼 수 있는데요.
- 공모펀드 : 은행이나 증권사(판매사) 등에서 불특정 다수에게 홍보하여 자금을 모으는 방식이에요
- 사모펀드 : 소수의 투자자로부터만 모은 돈을 제약 없이 투자하는 방식이에요.
- 폐쇄형 펀드 : 투자자들에게 자금을 모아 구성하고 운용하지만, 투자자들이 증권거래소를 통해서 주식을 거래해야 하는 형태의 펀드로 부동산펀드가 여기에 속한다고 하네요.
- 개방형 펀드 : 개별 투자자가 매입과 환매를 직접 할 수 있는 펀드
- ETF(상장지수펀드) : 자산운용사를 거쳐 매입, 환매하지 않고 증권 거래소를 통해 거래할 수 있는 펀드라고 합니다.펀드를 들면 주식보다 안전할까요?
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저도 20대 때 펀드를 들어본 적이 있다고 말씀드렸잖아요. 그때 적립식으로 하여 몇십만원 정도의 이익을 보고, 펀드에 대해서 주식보다 덜 위험하다는 생각을 갖게 됐는데요. 현실적으로는 그렇지 않은 것 같아요. (저는 운이 좋았던 편인 것 같고요) 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것만큼 경제에 관심을 갖고 있어야 수익을 낼 수 있는 게 펀드 같습니다. 내가 낸 자금이 어디에 어떻게 투자가 되고 있는지를 (아무리 운용사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해해야 할 테니까요. 제가 출자한 펀드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비리나 문제가 생길 수도 있고요. 실제로 어느 분은 남의 돈을(=고객의 돈이자 우리 돈이겠지요) 굴리는 사람인 펀드 매니저가 도덕적으로 타락하면 여러 문제가 생길 수 있음을 지적한 바가 있답니다. 펀드 자체가 손해를 볼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한 것이라서 사실 어떻게 굴리든 투자한 개인의 입장에서는 잘 알기 힘든 게 사실이지요.
그리고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판매사와 운용사는 전혀 다른데요. 판매사의 경우 상담직원에게 할당된 펀드를 추천해주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실제로 제가 20대에 두 번째로 든 펀드의 경우 은행원분에게 추천을 받았는데 그대로 곤두박질하고 손해만 보고 끝냈던 기억이 있답니다. 그 뒤로 펀드도 쉽게 들지 못하겠더라고요. (그것도 적립식이었고 기간을 꽤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요) 그 당시 돌이켜 보면 은행원 입장에서는 본인에게 할당된 양을 채우고자 저한테 권한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절대 추천하는 것을 덜컥 들기보다는 본인이 진득하게 공부하고 펀드를 가입할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오늘은 펀드에 대해서 알아보았어요.
사회초년생 때 펀드와 주식이 비슷하지만 다르다는 것만 모호하게 알고 있었는데, 이제 조금 정리가 되는 느낌이에요. 하나 확실해진 게 있다면 펀드라고 해서 특히 적립식이라고 해서 안전하다고 볼 수는 없다는 거네요. 물론 채권형같이 등락률이 크지 않은 펀드이면 모를까, 주식형이나 기타 상품은 제가 꼭 지식을 갖추고 펀드에 투자해야 한다는 것을 배우게 됐어요. (다만, 안정적일수록 수익률도 낮다는 게 함정...)
혹시 주식이나 펀드 투자를 고민하고 계시는 분이 있다면 제가 정리해 둔 주식과 펀드에 대한 기초 개념을 꼭 숙지하고 시작하시길 바랄게요! 물론 제가 포스팅한 글들이 투자를 위한 노하우 같은 것들은 아니지만 가장 기초개념으로 우리가 힘들게 번 돈이 어떻게 나에게 이익 또는 손해를 가져다주는 구조인지는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저도 과감한 투자자는 아니지만, 절대 빚 내서 무리하게 투자하시는 분은 없었으면 해요! 이 글을 보는 모든 분은 꼭 이 부분 약속해 주시길 바랄게요.
그럼, 일요일 저녁인데 다들 맛있는거 드시고 푹 쉬시길 바라요.일요일 저녁에 시간을 내서 경제 공부를 살짝 한 것 같아 뿌듯합니다.
저는 내일 또 다른 경제금융용어를 쉽게 풀어서 가져오도록 해볼게요!
2023.03.04 - [경제] - 주식의 기초에 대해 알아보자! 주식 뜻! 주식 개념!
주식의 기초에 대해 알아보자! 주식 뜻! 주식 개념!
고등학생 때 경제 공부를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것이 바로 '주식'의 개념이었어요. 실체 없는 것을 머릿속으로 그리는 게 어려웠는데, 이번에 확실하게 짚고 넘어가 보고자 해요! 이 글을 보시면
lazyyellow.tistory.com
반응형'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보험의 종류 (0) 2023.04.03 보험 한 판 정리하기! 보험 종류 알아보자! (0) 2023.03.07 주식의 기초에 대해 알아보자! 주식 뜻! 주식 개념! (2) 2023.03.04 소소하게 용돈버는 어플 소개 (토스, 캐시워크, 오베이, 레이블러) (0) 2023.03.04 퇴직연금 종류 알아보기 (0) 2023.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