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금이란 무엇일까? 내가 받을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은?Economy 2023. 3. 1. 21:58반응형
아랫글은 개인적으로 경제 공부를 하며 얻은 지식을 모아 둔 것이에요.
30대 중반이지만, 아직도 경제 개념이 모호한 저와 같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첫 번째로, 가장 많이는 들어봤지만 아직도 모호한 연금제도들에 대해 정리해 보았어요!Image by Freepik '연금' 도대체 뭐예요?
연금이란, 노후를 위해 경제활동 기간 동안 번 소득의 일부를 모아두는 제도입니다.
누가 운영하느냐에 따라 공적 연금제도(나라가 운영) 사적연금제도(국가가 아닌 곳에서 운영)로 나뉘게 되는데요.
쉽게 생각해 보면 나이가 들어 더 이상 일하지 못하게 될 때 우리가 생활자금으로 쓸 수 있는 돈을 대비하는 방법을
국가에서도 또 개인적으로도 준비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그럼 나라에서 준비해 주는 연금은 뭐가 있을까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여기서는 국민연금, 기초연금, 주택연금만 살펴보려고 합니다.
1. 국민연금
나라에서 운영하는 연금입니다. 급여명세서의 공제항목에 매달 등장하는 연금이 바로 국민연금인데요.
납부 기간이 10년이 되거나 넘게 되면 만 61세부터 월 얼마씩 수령할 수 있습니다.
만약 납부 기간이 10년이 되지 않은 경우 만 65세가 될 때 이자를 포함해 납부한 금액을 일시불로 받을 수 있습니다.
월 납부 금액은 소득의 9%인데, 근로소득자의 경우 회사가 4.5% 개인이 4.5%를 부담한다고 합니다.
2. 기초연금
이 또한 나라에서 운영하는 연금인데요. 만 65세 이상이면서 한국 국적을 가지고 있고, 가구 소득인정액이 기준 이하인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금입니다. 만약 65세임에도 소득이 있으면 여기에 해당하지는 않겠군요.
3. 주택연금
주택연금은 가지고 있는 주택을 담보로 하여 연금을 받는 제도인데요. 주택에 거주하는 당사자가 사망하게 되면 나라가 해당 주택을 되팔아 그 돈으로 연금 금액을 메꾸는 방식이라고 합니다.
국민연금에 대해 내가 받을 금액을 알아보고 싶다면 내 연금 알아보기 에서 로그인하고 확인하실 수 있어요.
저도 살짝 확인해 보니 2054년 12월부터 약 140만 원 정도를 받게 되네요.
나라에서 월 140만 원을 지급해 준다고 하지만, 이것으로 부족할 수가 있어 들게 되는 연금이 사적연금제도입니다.개인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사적 연금제도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나라에서도, 나라가 제공하는 돈으로만은 부족하다고 생각해 개인연금을 장려하고 있는데요.
장려하고 있는 방법 중 하나가 세제 혜택 (=세금을 적게 낼 수 있도록 해주는 혜택)입니다.
돈을 넣는 시점에 세금을 감면받게 되면 적격이라고 하고, 돈을 수령하는 시점에 세금을 감면받게 되면 비적격이라고 하는데요.
유형별로 아래와 같은 상품이 있어요.
- 세제 적격 연금 : 개인 퇴직형 연금(IRP), 연금저축
- 세제 비적격 연금 : 연금보험
아래 표는 아주 간단하게만 적격과 비적격을 구분해 둔 것입니다.구분 세제 적격 세제 비적격 세액 공제 한도 400만원 + 연금소득세 냄 없음 + 연금소득세 없음 연금 개시 나이 만55세 이후 만 45세 이후 저도 정리하면서 알게 됐는데, 저는 비적격 상품을 들고 있어서 그동안 세제 혜택을 받지 못했던 거였네요.
어쨌든, 적격 비적격의 연금 유형에 대해서 살펴볼게요.
1. 퇴직연금 (적격)
근로소득자의 경우 퇴직을 하면 회사에서 돌려받는 퇴직연금이 바로 이 적격 연금 중 하나입니다.
퇴직금이 아니라 퇴직연금으로 바뀐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는데 이건 다른 포스팅에서 다뤄 볼게요!
2. 연금저축 (적격)
연금저축 가입자는 소득이 높을 때 세금을 덜 내고, 소득이 낮아지는 시점에 세금을 냄으로써 절세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400만 원까지 연말정산 혜택을 볼 수 있으나 연금 수령은 최소 5년 이상 납입해야 하고 55세부터 10년 이상 연금으로 수령해야지 저율 소득이 된다고 합니다. 만약 이 조건을 지키지 못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세율인 기타 소득세가 부과된다고 합니다.
3. 연금보험 (비적격)
당장은 세제 혜택이 없으나 연금 수령 시점에서 비과세 혜택이 있으며 10년 이상 가입상태를 유지할 경우 이자 소득세가 면제됩니다. 연금보험에는 연금보험(시중 금리를 따라 연동되는 보험), 변액연금보험(보험금액의 일부를 주식이나 펀드에 투자하는 보험), 즉시연금보험(일정 금액을 일시에 보험료로 납입하는 보험) 이렇게 3가지 유형이 존재하는데요.
이 글을 적다 보니 저는 일반 연금보험을 들었었네요. 곧 10년이 다 되어 가는데, 확인을 한번 해봐야겠습니다!연금! 결론은 무엇일까?
직접 제가 받을 국민연금을 계산해 보니, 결론적으로 국민연금을 받는다는 가정하에 개인연금이 하나 더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저뿐만 아니라 남편의 국민연금도 함께 보고 같이 노후 준비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여러분도 이 기회에 직접 예상 연금 수령액에 대해 계산해 보고, 개인연금 하나쯤 더 들어두시는 건 어떨까요?사회초년생 때 급하게 들어두었던 연금이 이렇게 중요한 것인 줄 몰랐어요.
저는 첫 직장을 가지며, 개인연금과 변액연금을 함께 들었다가 최근에 변액연금만 해지했었거든요.
조금 더 빨리 연금의 중요성에 대해 알았다면 한 번 더 고민해 보았을 것 같아요!
사실 연금을 첫 번째 주제로 잡은 이유가 퇴직연금의 다양한 종류 때문이었는데요.
퇴직연금은 지금 설명해 드린 것보다 조금 더 복잡하게 DC형부터 시작해서 굉장히 다양한 종류가 있더라고요. 이 부분도 잘 알아두어야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시작했는데, 이것은 따로 떼어 포스팅해 보도록 할게요. 그럼 다들 좋은 저녁 보내세요!반응형'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험 한 판 정리하기! 보험 종류 알아보자! (0) 2023.03.07 펀드와 주식의 차이점! 펀드의 개념 (0) 2023.03.05 주식의 기초에 대해 알아보자! 주식 뜻! 주식 개념! (2) 2023.03.04 소소하게 용돈버는 어플 소개 (토스, 캐시워크, 오베이, 레이블러) (0) 2023.03.04 퇴직연금 종류 알아보기 (0) 2023.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