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디자인

플러스엑스 UI패키지 강의 후기 - (9)

by Lazyyellow 2023. 7. 26.
728x90
반응형

 오늘 수강/복습 할 부분
Part2. UI 디자인 기초
- PlusX와 해상도 

 

 

 정리 및 느낀점

- 오늘은 어제 배운것 중 플러스엑스에서는 해상도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조금더 회사 관점에서 다룬 강의였다. 앞서 말한 것처럼 UI디자이너라면 해상도를 직접 판단하고, 선택할 줄 알아야 하는데, 플러스엑스에서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는지 안내 해주심!

 

- 먼저 크게 파트너사가 제안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 제안하는 경우 파트너사의 의견을 따르면 됨으로 크게 문제가 되지 않고, 직접 선택해야 하는 경우 아래의 룰들이 적용된다고 한다.

 

1) 프로젝트 작업의 성격 : 이것이 제안에서 그치냐 아니면 실제 구축까지 이어지느냐에 따라 플러스엑스에서는 해상도를 선택하고 있다. 실제 구축까지 가는 경우 다양한 기준 해상도를 활용하고 그렇지 않으면 디자인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ios 기준을 선택한다고 한다. 이부분은 나와는 크게 관계가 없어서 그렇구나 하고 넘어감.

 

2) 서비스의 성격에 따라서! PC우선인지 MO우선인지! 예를들어 기업사이트의 경우 PC를 기준으로, 그렇지 않은 이커머스의 경우 모바일 기준으로 작업하신다고한다. 여기서 궁금한 점... 최근 작업한 것이 기업사이트 였는데, 같이하는 업체에서 그럼에도 모바일 유입이 많을 거라고 이야기를 주셔서 MO 먼저 작업하자고 하셨는데, 또 강의는 기업사이트의 경우 PC를 기준으로한다고 해서 약간 아리송했다.. 어디 이런 데이터 모아둔 곳이 없으려나.. 

 

3) 메인작업이 될 플랫폼이 WEB인지 APP인지에 따라 달라진다고 한다. WEB이면 PC/MO기준으로 가고 APP이면 안드로이드와 ios중 무엇을 우선 선택할지를 고민한다고 하시는데, APP의 경우 보통 안드로이드를 먼저 작업하고 추후 ios로 배리한다고 하신다. 

 

4) 리소스구성에 따라 선택한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반응형은 해상도 테스트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보니, 이런 것들도 감안해서 해상도를 결정 하시는 듯

 

5) 마지막으로 이미 인터뷰한 자료를 통해 타겟을 확인하고 이 타겟들이 많이 쓸 것 같은 해상도를 먼저 정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신다. 

 

- 위 내용을 총 종합하면 플러스엑스에서는 안드로이드의 경우 360*680 / ios의경우 375*812 / WEB의 경우 1920 * 1080을 기준해상도로 잡고 작업하신다고 한다. 

 

- 내가 기존에 해왔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아서, 한편으로는 다행이었지만.. 또 한편으로는 해상도 그니까 아트보드 하나 잡는데 여러가지를 고려했었어야 하는데, 크게 그렇지 못한 것 같아서.. ㅜㅜ 아쉽기도 했다. 앞으로 잘하면 되니까 모 ^3^ 

 

 그럼 오늘의 수강 인증 샷!

728x90
반응형